Header Ads

ads header

[toyo21]“메신저에서 튀어나오는 경고문에 놀랐어요”

서민 보조금 지급…법원 통지서 발송 등 신종 수법도 등장

<늘어가는 피싱 사기 대책>

“금전 요구시 전화를 통해 대화상대를 확인하십시오.”

얼마 전 직장인 김모씨(31)은 조금 당황스러운 일을 겪었다. 메신저를 사용하다가 무심코 돈 얘기를 입력하자, 메신저에서 “지인을 사칭하면서 금전을 요구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금전 요구시 전화를 통해 반드시 대화상대를 확인하십시오”라는 안내가 떴기 때문이다.

김 씨는 “피싱 범죄가 많다고는 하지만 이런 문구 때문에 메신저 사용자들이 더 놀라는 것 같다”면서도 “이런 식으로라도 주의를 줘야 시민들이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민원안내 110콜센터 김안태 과장은 “수사기관이나 금융기관, 국세청, 법원 등 우리나라 어떤 기관에서도 개인정보나 금융거래 정보를 전화로 물어보지 않는다는 것과 현금지급기로 환불을 해주는 경우가 없다는 것만 확실히 기억하면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피싱 범죄 기승…다양한 수법과 명목 ‘개발(?)’해 방방곡곡서 활개

지난해 피해액 22억원, 건수 77000건 …우체국 택배 사칭 가장 빈번해 지난 한 해동안 ‘110 정부민원안내콜센터’에 접수된 보이스피싱 신고 건수는 총 77,177 건, 피해액은 총 22억여원에 달한다. 지난 2005년 처음 발생했던 시점부터 약 6~10가지의 수법이 등장해 피해를 양산하고 있다.

2008년에는 우체국 택배를 사칭한 사건이 36,078건으로 전체 신고건수의 46.7%를 차지해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우편물을 반송하겠다거나 우체국 은행의 계좌 관련 상담 전화를 사칭해 돈을 인출하는 방법이다.

최근들어 ARS전화를 통해 우체국임을 상기시키면서 소포가 도착해 반송예정이라는 ARS전화를 통해 개개인 주소,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를 빼내어 가는 사기전화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실제로 우체국을 사칭하는 ARS전화는 “우체국입니다. 소포가 도착해 반송예정입니다. 다시 듣고 싶으시면 0번, 안내를 원하시면 9번을 눌러 주십시오”라는 안내멘트가 나온 후 9번을 누르면 안내하는 사람이 나와 주소,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를 자세하게 물어본 다음 일방적으로 전화를 끊는다.

우체국은 허위 ARS전화에 잘못 응대할시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가 유출돼 범죄에 이용되거나 부당한 전화요금 청구 등의 피해를 보게 되므로 이같은 전화가 걸려오면 즉시 끊고 가까운 수사기관에 신고를 해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피싱 범죄에서 변하지 않는 것은 현금인출기나, 인터넷 뱅킹을 통화하면서 열도록 만드는 것이다. 입금에는 굳이 이를 열 필요가 없지만, 사기범들은 피해자에게 이를 열게 만들어 현금을 교묘하게 인출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가장 초기에 발생한 수법은 공공기관을 사칭해 세금을 환급해 준다는 세금 환급사기. 국민연금관리공단, 건강보험공단, 국세청 등이 주로 사칭된 기관이었다. 환급 금액은 대부분 몇 십만원 이내였으나, 환급받지 않으면 국고로 환수된다고 설명했기 때문에 피해자들이 입금을 서두르도록 만들어 피해가 컸다. 입금은 대부분 은행의 전산망 코드와 피해자의 계좌번호를 섞어 입력하도록 했는데, 이렇게 입력하면 곧바로 피해자의 돈은 사기범들의 대포통장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후에는 금융기관, 특히 카드사나 은행 등을 사칭하는 일이 빈번하다. 이들은 대부분 “고객의 카드 이용대금이 연체됐다”거나 “어떤 물건의 결제대금이 필요하다”거나 하는 입금 안내 문자메시지나 전화를 한다. 피해자들은 무심코 받지만 발신번호 표시가 없거나 국제전화인 경우도 있고, 예전에 문자송수신기에 사용되던 주파수 대역 번호(013, 014) 등 사용하지 않는 번호를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일반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고, 송신번호 조작을 통해 진짜 관공서 전화번호를 뜨게 만들어 피해자에게 사기를 믿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 다단계로 공공기관을 사칭하면 피해자들은 사기 조직을 믿게 되는 효과가 더 강화되기도 한다.

일례로 카드 연체금 사기의 경우 보통 피해자가 사기를 당하는 과정에서 “나는 카드 대금을 연체한 적이 없다”고 말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대답으로 “누군가 당신의 개인정보를 유출해 카드를 사용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러면 피해자는 더욱 불안해질 수 밖에 없고 이를 안심시키려 사기조직은 “사기 사건을 경찰에 대신 신고하겠다”고 말하고 경찰을 사칭한 조직원이 또 전화를 걸어 “금감원에 연락을 취했으니 연락이 오면 지시에 따라 조치하라”고 당부한다. 금감원을 사칭한 조직원은 마지막으로 “보안설정을 위한 절차를 진행하겠다”며 인출 절차를 차근 차근 밟아나간다.

피해자가 통장이체에 대해 따지는 경우도 사기 조직은 대답할 말이 있다고. “금감원에서 당신의 돈을 48시간 동안 안전하게 맡겨 뒀다가 나중에 다시 계좌로 입금한다”고 둘러댄다는 것이다. 피해자들은 이 상황에서 평소에 나오지 않는 민첩성을 띠기도 한다. 기민하게 행동하면 더 빨리 피해를 막을 수 있다고 믿게 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앞선 사례처럼 △인터넷 메신저로 주소, 주민등록번호, 가족, 친구 관계 등을 미리 파악하여 지인으로 가장, 계좌이체를 시키는 경우 △법원통지서 등을 팩스로 먼저 발송해 믿게 한 후 사기전화를 거는 경우 △정부에서 서민을 위해 각종 보조금을 지원해 준다고 말하며 계좌에서 돈을 인출하는 등 신종수법까지 개발되고 있다.

문제는 평소 보이스피싱에 대해 잘 알고 있던 사람이라도 막상 피해 상황에 부닥치게 되면 효과적인 대응을 할 수 없다는 데 있다. 실제로 보안설정을 위해 불러주는 번호 등이 이체 액수인 경우가 많고, 인출기 앞에서는 절차를 영어로 바꾸어 진행하라고 하는 등 수법은 더욱 더 교묘해지고 있다.

체계적인 보이스피싱 조직 … 중국과 한국으로 이원화된 조직 많아

보이스피싱은 중국과 한국으로 조직이 이원화돼 일사분란하게 움직이면서 치고 빠지는 수법을 쓴다. 중국의 삼합회와 대만의 죽련방을 비롯한 범죄 조직이 중국에 본거지를 두고 대규모 콜센터를 운영하면서 한국인을 상대로 무작위로 전화를 걸고 있다는 설이 유력하다. 전화를 걸어 피해자가 대포통장에 돈을 계좌 이체시키면 한국에 있는 현금 인출팀과 송금팀이 움직인다. 대포통장을 알선하는 계좌 개설팀도 있다.

콜센터는 외관상 텔레마케터를 둔 홍보 업체와 비슷하다. 한국어에 능통한 조선족 뿐 아니라, 최근에는 국내인들에게 돈을 주고 녹음을 하게 한 ARS 등을 이용해 피해자들과 통화를 하며 현금인출기 앞으로 유인한다. 분산 투자하는 식으로 중국 곳곳에 10~20개가량의 콜센터를 따로 운영하고 있다는 설도 파다하다.

콜센터에서는 한국 국민의 개인정보를 습득한 후에 전화를 일일이 거는 것이 아니라 대량송신장치를 이용해 전화번호 순서에 따라 무작위로 전화를 걸어 ARS 안내음을 들려주기도 하고, 미리 입수한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돈을 빼가는 방법도 많이 사용된다.

관련 수사를 맡은 경찰 관계자는 무작위 전화에 대해 “번호를 순서대로 사용하는 사무실에 어느 날 갑자기 보이스피싱으로 의심되는 전화가 순서대로 울린다는 제보도 들어오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번호를 몇 개 같이 쓰고 있는 경찰서에도 이와 같은 보이스피싱 전화가 걸려온 사례가 있기도 하다.

중국 콜센터에서 한국에 전화를 걸 때는 국제전화 사업자나 인터넷 전화 사업자를 거친다.역추적이 불가능할 정도로 복잡한 구조다. 이 때문에 일선 경찰서에서 보이스피싱 사건을 접수한 후 전화번호를 역추적해 발신자를 찾아내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대부분 ‘중국 상하이’ 등 사업장이 있는 주소가 대표적으로 뜨게 된다.

전화금융사기 의심이 들면 국민권익위에서 운영하는 110콜센터(☏ 국번없이 110번)에서 상담받을 수 있으며, 직접 피해를 입었을 경우 즉시 가까운 경찰서에 신고하거나 주 거래은행에 지급정지 요청을 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주민번호 등 개인정보를 이미 노출시켰을 경우에는 금융감독원이나 거래은행에 연락해 개인정보노출 사고예방시스템을 이용해 최대한 추가 피해를 줄여야 한다.

조강희 기자 insate@gmail.com

댓글 없음

Powered by Blogger.